요즘 가상자산 시장에서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관심이 많이 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대표적인 두 가지, USDT(테더)와 USDC(USD 코인)는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시는 부분이죠. 겉으로 보기에는 둘 다 1달러에 연동된 코인이지만, 실제로는 발행 주체부터 운영 방식까지 여러 차이가 존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USDT와 USDC의 차이점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스테이블코인이란?
먼저 간단히 개념부터 짚고 넘어갈게요. 스테이블코인은 말 그대로 가격이 안정적인 가상자산입니다. 대표적으로 1달러에 고정된 코인들이 많고, 이런 안정성 덕분에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을 줄이는 데 쓰이기도 해요.
USDT(테더)란?
USDT는 Tether Limited라는 회사가 발행한 스테이블코인입니다. 2014년부터 발행되기 시작했고, 암호화폐 거래소인 비트파이넥스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현재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스테이블코인이기도 해요.
- 발행 주체: Tether Limited
- 출시 시점: 2014년
- 특징: 유동성이 풍부하고, 다양한 블록체인에서 사용 가능
- 준비금 구성: 미국 국채, 기업어음, 현금, 비트코인 등 다양
USDC(USD 코인)이란?
USDC는 Circle이라는 미국 핀테크 기업이 발행합니다. 처음엔 코인베이스와 협업으로 시작되었지만, 지금은 Circle이 단독 운영 중이에요. 무엇보다도 미국 내 규제를 철저히 따르며 운영되고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 발행 주체: Circle
- 출시 시점: 2018년
- 특징: 투명한 회계 보고와 규제 준수
- 준비금 구성: 미국 국채와 현금 위주
두 코인의 핵심 차이점은?
어떤 스테이블코인을 써야 할까?
이제 중요한 질문으로 돌아가 봐야겠죠. 도대체 어떤 코인을 써야 할까요?
단기 거래나 빠른 자금 이동이 목적이라면: USDT
거래소 대부분이 지원하고, 유동성도 뛰어나서 빠른 대응이 가능합니다.
규제 준수와 자산 안정성이 우선이라면: USDC
회계 투명성과 안전한 준비금 덕분에 기관 투자자나 장기 보유자에게 알맞습니다.
쉽게 말해, 거래 속도를 중시한다면 USDT, 신뢰성과 안정성이 더 중요하다면 USDC 쪽으로 눈을 돌려보시면 좋겠습니다.
USDT와 USDC를 선택할 때 유의할 점
거래소 지원 여부
모든 거래소가 USDC를 지원하는 건 아니라서 미리 확인이 필요합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
USDT는 다양한 체인에서 발행되므로 네트워크 수수료와 속도를 비교해보세요.
거래 목적
투자 vs 보관, 결제 vs 환전 등 목적에 따라 적합한 코인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USDT와 USDC는 모두 1달러에 연동된 안정적인 코인이라는 점에서 큰 공통점이 있지만, 누가 만들었는지, 얼마나 투명한지, 어떤 자산으로 뒷받침되는지에 따라 신뢰도와 사용 목적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 하트로 신호 보내주세요!
'재태크 > 세금 ㆍ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KCB 신용점수 하락 이유는 뭘까? (8) | 2025.05.21 |
---|---|
대출 문턱 더 높아진다?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 정리 (14) | 2025.05.21 |
국세·지방세 완납증명서 온라인 발급, 이 방법이면 어렵지 않아요 (23) | 2025.05.15 |
비대면대출차단 서비스, 금융사기 막는 가장 쉬운 방법 (23) | 2025.04.28 |
신용대출과 마이너스 통장, 내게 맞는 대출은 어떤 걸까? (10)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