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성장을 말할 때 빠지지 않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ESG, 그리고 그 중심에는 RE100이란 개념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언뜻 보기에는 생소한 이 용어가 왜 글로벌 기업들에게 중요한 전략이 되었는지 궁금하신 분들도 계실 텐데요.
이번 글에서는 RE100의 뜻, 그리고 국내외 기업들이 왜 참여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RE100 뜻, 간단하게 말하면?
RE100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을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글로벌 캠페인입니다. 이 캠페인은 2014년 영국의 비영리단체인 더 클라이밋 그룹과 CDP(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가 함께 시작했습니다.
현재는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BMW 등 글로벌 선도 기업 수백 곳이 참여하고 있으며, 한국 기업들도 점차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왜 RE100이 중요한 걸까?
이 캠페인은 단순한 친환경 선언이 아닙니다.
기업들이 RE100에 참여하려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후 변화 대응
기후위기의 심각성이 전 세계적으로 커지면서 기업도 환경에 대한 책임을 요구받고 있습니다. RE100은 탄소 배출을 줄이고 지구 온난화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글로벌 시장 경쟁력 확보
해외 바이어들은 ESG 요소를 중요한 평가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RE100 가입 여부는 수출 경쟁력과도 직결될 수 있는 요소가 되어가고 있죠.
지속가능한 경영 전략
재생에너지 기반의 생산 체계로 전환하면, 장기적으로 비용 효율성과 친환경 이미지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어 기업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우리나라 기업들도 RE100에 동참 중
국내에서도 RE100에 참여하는 기업이 하나둘 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2022년 RE100에 공식 가입했고, 2050년까지 전 세계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전력을 모두 재생에너지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LG전자
2050년까지 100% 재생에너지 사용을 목표로 잡고 있고, 단계적으로 그 비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네이버
국내 IT 기업 중 최초로 2022년에 RE100에 가입해 2040년 100% 달성을 선언했습니다.
글로벌 기업들도 이미 재생에너지 사용 비중을 100% 달성했거나 공급망 전체로 확대 중입니다.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대표적입니다.
RE100을 달성하는 방법은?
그렇다면 기업들이 어떻게 100% 재생에너지 사용을 실현할 수 있을까요?
대표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PPA(전력 구매 계약)
재생에너지 발전소와 직접 계약을 맺어 전력을 조달합니다. 중장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REC(재생에너지 인증서) 구매
직접 재생에너지를 생산하지 않더라도, 이를 사용하는 기업이라는 인증을 받을 수 있는 방식입니다.
자가 발전 설비 설치
사업장에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설비를 구축해 직접 에너지를 생산하는 방법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한국형 RE100(K-RE100)도 있다?
국제 RE100 캠페인에 바로 참여하기 어려운 기업들을 위해, 국내에서는 K-RE100 제도도 운영 중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에너지공단이 운영하는 이 제도는 기업이 재생에너지 사용 실적을 인증받아 글로벌 RE100 기준과의 연계를 돕는 구조입니다.
국내 중견·중소기업들이 ESG 흐름에 동참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춘 셈입니다.
RE100은 단순히 좋은 일을 하는 캠페인이 아닙니다. 기후 위기에 대한 책임 있는 대응이자, 변화하는 글로벌 시장 환경 속에서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필수 전략이 되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 하트로 신호 보내주세요!
'재태크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디스 미국 신용등급 강등 배경과 환율 영향 총정리 (11) | 2025.05.20 |
---|---|
경상수지와 자본수지, 경제 흐름을 읽는 두 개의 창 (12) | 2025.05.14 |
미국의 1인당 국민소득, 어느 정도일까? (8) | 2025.05.12 |
메가박스와 롯데시네마 합병 추진, 영화 산업 지형도 바뀐다 (11) | 2025.05.08 |
한전 통하지 않고 전기 산다? 전력 직접구매제 완전 해부 (13)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