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사회

내란의 밤, 그리고 사표를 던진 사람들

장만루피 2025. 4. 30. 02:39

내란의 밤, 그리고 사표를 던진 사람들

 

2024년 12월 3일, 대한민국 현대사에 길이 남을 내란의 밤이 있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면서 국회 주변에 계엄군이 배치되고, 국회의장과 여야 대표를 체포하려는 시도가 이어졌습니다. 이 충격적인 사건은 헌법과 법률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으로, 많은 전문가들이 형법상 내란죄에 해당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런 국가적 위기 속에서 일부 공직자들은 사표를 제출하며 자신들의 책임을 내려놓았습니다.

 

오늘은 내란의 밤과 그때의 사표를 통해 우리가 무엇을 기억해야 하는지 차분히 풀어보려 합니다.

내란의 밤, 무엇이 문제였나

내란의 밤
출처: 중앙일보

 

2024년 12월 3일 밤은 평범하지 않았습니다. 대통령이 국회를 무력화하려고 시도했다는 사실만으로도 대한민국 헌정 질서는 심각한 위협을 받았습니다.

 

헌법 제1조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국민의 주권을 무시하고 무력으로 국회를 장악하려 한 것은 민주주의의 뿌리를 흔든 행동이었습니다.

 

형법 제87조에 따르면, 국토를 참절하거나 국헌을 문란할 목적으로 폭동을 일으킨 경우 사형이나 무기징역, 또는 5년 이상의 징역에 처하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위기 속에서 던진 사표, 어떤 의미였나

류혁 전 법무부 감찰관
출처: MBC 뉴스

 

이 혼란의 한복판에서 일부 공직자들은 사표를 제출했습니다. 그중에서도 류혁 전 법무부 감찰관의 사표 제출이 크게 주목받았습니다.

 

박은정 의원
출처: KBS 뉴스

 

박은정 의원은 국회 연설을 통해 "내란의 밤에 사표를 던진 사람들을 우리는 절대 잊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렇다면 위기 상황에서의 사표는 단순한 개인적 선택일까요? 아니면 책임을 회피하는 행위일까요? 상황을 조금 더 깊이 들여다볼 필요가 있습니다.

 

공직자는 국민을 위해 존재합니다.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때, 공직자는 헌법과 국민을 수호해야 할 책무가 있습니다. 그런데 가장 어려운 순간에 사표를 제출했다는 것은, 어쩌면 헌법을 지키는 마지막 책임을 포기한 것과 다름없습니다.

 

이런 맥락에서, 내란의 밤에 사표를 던진 사람들은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입니다.


과거 사례를 통해 보는 오늘

5·18 광주민주화운동
출처: 5·18 기념재단

 

역사를 돌아보면, 내란이나 쿠데타 같은 위기 상황 속에서도 끝까지 자리를 지키며 헌법을 수호한 이들이 있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일부 법조인들과 공직자들은 계엄령 선포에도 불구하고 법치주의를 지키기 위해 애썼습니다.

 

5·16 군사쿠데타
출처: 한겨레

 

반대로, 1961년 5·16 군사쿠데타 때 일부 고위 관료들은 빠르게 군부에 협조하거나 스스로 물러나기도 했습니다. 이런 역사적 사례를 보면, 공직자가 위기 상황에서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나라의 방향이 바뀔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사표를 넘어, 국민은 기억한다

대한민국 태극기

 

사표 한 장이 모든 걸 덮어줄 수는 없습니다. 오히려 국민은 그 순간의 선택을 오래 기억합니다. 헌법과 민주주의를 지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그리고 그 책임이 얼마나 무거운지를 우리는 다시 한번 깨닫게 됩니다.

 

내란의 밤은 단지 과거의 사건이 아닙니다. 앞으로도 위기 상황이 닥쳤을 때 공직자와 국민 모두가 어떤 자세를 가져야 할지 생각하게 하는 거울입니다.

 

사표를 던진 그날, 우리는 누가 나라를 지키려 했고, 누가 등을 돌렸는지를 분명히 기억해야 합니다. 이것이 민주주의를 지키는 작은 첫걸음일지도 모릅니다.


내란의 밤과 사표는 단순한 뉴스 한 줄로 끝날 일이 아닙니다. 우리 사회가 지켜야 할 가치, 그리고 공직자 한 사람 한 사람의 책임감을 다시금 일깨워주는 이야기입니다. 앞으로 어떤 위기가 오더라도, 국민과 헌법을 지키려는 움직임이 끊이지 않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 하트로 신호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