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사회

대통령 선거 후보 기호 3번이 없는 이유, 궁금하셨죠?

장만루피 2025. 5. 18. 05:11

대통령 선거 후보 기호 3번이 없는 이유, 궁금하셨죠?

 

대통령 선거 투표용지를 보다 보면 기호 1번, 기호 2후보가 있고, 다음에 3번이 아니라 4번으로 건너뛰는 경우가 있습니다. 처음 보는 분들은 기호 3후보가 없지? 하고 의아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대통령 선거에서 기호 3번이 없는 이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대통령 선거 후보 기호는 어떻게 정해질까?

대통령 선거 후보 기호 3번이 없는 이유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후보자들에게는 각자 번호가 부여되는데, 번호를 후보 기호라고 부릅니다. 기호는 단순히 순서대로 부여되는 것이 아니라 공직선거법따라 일정한 기준에 의해 정해집니다.

 

대통령 선거 후보 기호 3번이 없는 이유

 

기호 부여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회 의석이 있는 정당 소속 후보자
국회에 의석을 가진 정당의 경우, 의석 수가 많은 순서대로 후보자에게 기호가 주어집니다. 예를 들어, 제1당이 후보를 내면 기호 1번을, 제2당이 후보를 내면 기호 2번을 받게 되죠.

국회 의석이 없는 정당 소속 후보자
의석이 없는 정당 후보는 정당 이름의 가나다 순서로 기호가 부여됩니다.

무소속 후보자
무소속 후보자들은 추첨을 통해 기호를 받게 됩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후보자는 기호를 부여받고, 유권자들은 기호를 통해 쉽게 후보를 구분하고 투표할 있게 됩니다.


그런데 왜 기호 3번은 비어있을까?

대통령 선거 후보 기호 3번이 없는 이유

 

이번 2025대통령 선거를 예로 들어보면, 기호 1번은 더불어민주당의 이재명 후보, 기호 2번은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가 차지했습니다. 그렇다면 자연스럽게 기호 3번은 번째로 의석 수가 많은 정당이 가져야 텐데요.

 

문제는 의석 수 3위 정당인 조국혁신당이 대선에 후보를 내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의석을 가진 정당이 후보를 등록하지 않으면, 해당 기호는 다른 후보에게 넘어가지 않고 공란으로 남게 됩니다.

 

3정당이 후보를 내지 않으면 번호는 건너뛰고 다음 후보에게 4번이 주어지는 방식입니다. 그래서 투표용지에 기호 3번은 존재하지 않고, 바로 4번으로 넘어간 것이죠.

 

이러한 시스템은 투표지를 혼란스럽게 만들지 않기 위해 정해진 원칙에 따라 운영되고 있습니다.


기호 결번이 문제가 될 수는 없을까?

대통령 선거 후보 기호 3번이 없는 이유

 

기호가 빠져 있다고 해서 선거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유권자 입장에서 혼란이 생길 수는 있습니다.

 

예를 들어 투표용지를 보고 "내가 지지하는 후보가 왜 기호 3번이 아니고 4번이지?"라고 착각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투표 전에 후보자와 기호를 반드시 확인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선거 당일 투표소에서 혼동 없이 정확하게 선택하려면, 미리 후보자 정보를 확인하고 기억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기호 3번이 없는 건 오류가 아닌 원칙 때문

정리하자면, 대통령 선거에서 기호 3번 후보가 없는 이유는 국회 의석 3위 정당이 후보를 등록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럴 경우 공직선거법에 따라 해당 기호는 비워두게 되며, 번호는 자동으로 건너뛰게 됩니다.

 

이것은 법적으로 명확하게 정해진 절차이기 때문에, 누락이나 오류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하시면 좋겠습니다.


선거는 나라의 중요한 진로를 결정하는 과정입니다. 기호 하나하나에도 법적 기준이 있으며, 그에 따라 유권자들의 선택이 이뤄집니다. 단순히 3번이 없네? 하고 지나치기보다, 안에 담긴 제도적 의미를 이해하면 보다 현명한 유권자가 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 하트로 신호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