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생활을 하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은 퇴사를 고민하게 되는 순간이 찾아옵니다. 퇴사는 내 삶의 방향을 새롭게 정하는 중요한 선택인 만큼, 퇴사 통보 시기와 절차도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는데요.
이 글에서는 직장인이 퇴사할 때 퇴사 통보 시점과 절차를 어떻게 준비하면 좋을지 알려드립니다.
퇴사 통보 시기, 법적으로 언제가 맞을까?
먼저 법적으로 퇴사 통보를 언제 해야 하는지 살펴볼게요.
민법에 따르면 1개월 전 통보가 기본
우리나라 민법 제660조에서는 근로자가 기간의 정함 없이 근로계약을 체결한 경우, 퇴사 의사를 밝힌 후 1개월이 지나야 퇴사 효력이 발생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계약 기간이 없는 경우에는 퇴사를 통보한 뒤 최소 한 달은 근무해야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이보다 더 유연하게 적용되기도 해요. 대부분의 회사에서는 2주에서 4주 전 통보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법적 최소 기간보다는 회사 상황과 업무 인수인계를 고려한 실무적인 기준이라 할 수 있죠.
회사 규정도 꼭 확인하세요
회사마다 퇴사 통보 시점을 따로 정해두는 경우도 많습니다. 근로계약서나 취업규칙을 확인해보면 퇴사 시 몇 주 전에 통보해야 하는지가 명시돼 있을 수 있어요.
만약 별도의 규정이 있다면 그에 따르는 게 좋습니다. 이를 지키지 않으면 퇴사 과정에서 불필요한 마찰이 생길 수 있거든요.
퇴사 통보, 언제가 가장 좋을까?
실제로 퇴사를 준비할 때는 법적 기준과 회사 규정 외에도 몇 가지를 더 고려하면 좋아요.
업무 인수인계 기간 고려하기
퇴사 통보는 너무 늦어도 문제지만, 너무 빨라도 불필요한 스트레스가 생길 수 있어요. 인수인계를 충분히 할 수 있는 기간을 잡는 게 가장 이상적이에요.
보통 2주에서 4주 전이면 인수인계 계획을 세우고, 후임자와 업무를 정리하는 데 무리가 없겠죠. 만약 맡고 있는 프로젝트가 길거나, 인수인계할 업무가 많다면 좀 더 일찍 통보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회사의 업무 흐름 파악하기
퇴사 통보는 회사 입장에서도 민감한 문제예요. 결산 기간이나 중요한 프로젝트 진행 중인 시기는 피하는 게 서로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바쁜 시기를 피해서, 회사와 내가 모두 원활하게 정리할 수 있는 시점을 고르는 게 좋아요.
사직서 제출 타이밍 잡기
퇴사 의사는 먼저 직속 상사와 면담을 통해 구두로 전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 후에 공식적으로 사직서를 제출해 절차를 밟는 거죠.
사직서에는 퇴사 예정일과 간단한 퇴사 사유를 적는 게 기본입니다. 너무 장황하게 적기보다는 간단명료하게 작성하는 게 좋아요.
퇴사 준비, 이것만은 꼭 챙기세요
인수인계 계획 세우기
퇴사 통보 후에는 인수인계 계획을 세우는 게 필수입니다. 내가 맡고 있던 업무를 누가 이어받을지, 어떤 식으로 인수인계를 진행할지 구체적으로 정리해두면 후임자와 회사 모두에게 도움이 됩니다.
원만한 퇴사를 위해서라면 이 부분을 성실하게 준비하는 게 좋겠죠.
잔여 연차 소진 또는 정산 확인하기
퇴사 전에 남은 연차가 있다면 어떻게 처리할지 고민해봐야 해요. 회사 정책에 따라 연차를 소진하거나 퇴직금과 함께 정산받을 수 있습니다.
남은 연차가 많다면 퇴사 통보 시점과 연차 사용 계획을 함께 조율하는 것도 방법이에요.
퇴사 통보 시기 한눈에 보기
퇴사 통보 시기는 법적인 기준만 맞추는 것보다, 회사와 나 모두가 부담 없이 정리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법적 기준은 1개월이지만, 실무에서는 2주에서 4주 전 통보가 보통이에요. 회사 규정과 업무 상황을 고려해 나에게 맞는 시점을 잡아보세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 하트로 신호 보내주세요!
'생활 > 직장ㆍ커리어ㆍ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사에서 다쳤을 때 재료비, 실비보험으로 받을 수 있을까? (15) | 2025.04.25 |
---|---|
직장 내 괴롭힘 대처 방법, 이렇게 준비하세요 (5) | 2025.04.25 |
아파트 시설 관리, 왜 중요할까요? 꼭 알아야 할 관련 자격증까지 총정리! (12) | 2025.04.24 |
근로계약서 안 쓰면 벌금? 사업주가 꼭 알아야 할 책임 (11) | 2025.04.22 |
위클래스 상담교사가 되기 위한 방법, 필요한 자격과 주요 업무 총정리 (11) | 2025.04.19 |